산불 현장에 고압 송전탑·선로…헬기 진화 어려움 <br />추락 위험에 헬기 고도 높여야…정밀 진화에 장애 <br />지중화 어려워…한전 송전탑 추가 설치 계획에 주민 반발<br /><br /> <br />이번 경북과 강원 지역 산불의 경우 산세가 험하고 확산 범위가 넓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헬기 공중 진화가 절대적인데요. <br /> <br />어려운 점이 있습니다. 바로 대형 송전탑입니다. <br /> <br />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출 이후 일몰까지 이어지는 헬기 진화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 산불 현장에서 자주 눈에 띄는 게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십 미터 높이 고압 송전탑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산불이 난 울진과 삼척, 동해 지역의 경우 송전선로가 거미줄처럼 얽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해안에서 만든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시설인데, 산불 확산 지역과 겹치며 헬기 운용이 제한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짙은 연기로 방향 감각을 잃은 헬기가 송전탑이나 선로에 걸릴 수 있기 때문. <br /> <br />실제 2017년 삼척 산불 당시 산림청 헬기가 진화 작업 중 선로에 걸려 추락해 정비사 한 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규한 / 산림항공본부 헬기 기장 : 네. 그것도 비행하는 데 저희가 가장 신경 쓰는 환경이기도 하고, 전에 그런 철탑에 부딪혀서 사고 난 경우도 있기 때문에…. ] <br /> <br />사고를 피하기 위해선 헬기 고도를 더 높여야 하는 상황. <br /> <br />그러다 보면 정확히 물을 뿌리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물탱크를 단 화재 진화 헬기와 달리 일반 헬기에 물주머니를 장착할 경우, 줄이 늘어지며 송전탑에 걸리거나 바람 저항이 강해져 비행 난이도가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현재 동해안 산불 현장 인근에 설치된 대형 송전탑은 최소 수백 기. <br /> <br />지중화 요구가 크지만, 비용 문제로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한전 측은 앞으로도 이 일대 230km에 이르는 장거리 송전선로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. <br /> <br />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지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지환 (haj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30907103052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