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환경운동단체 그린피스가 최근 두 달 동안 남극 해양 생태계를 탐사한 결과 곳곳에서 기후 위기 정황이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년 동안 서울 면적 70배에 달하는 남극 해빙이 사라지고, 따듯한 곳에서만 사는 펭귄의 서식지는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혜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다를 바라보며 사색하는 듯한 펭귄. <br /> <br />머리의 흰색 삼각형 띠가 특징인 이 펭귄의 이름은 젠투펭귄입니다. <br /> <br />남극에서도 비교적 온화한 지역에서만 살지만, 최근 원래 서식지에서 남쪽으로 200여km 떨어진 섬에서 무더기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 변화로 남극이 따뜻해지면서 예전엔 너무 추워 가지 못했던 남쪽으로 점차 서식지를 넓히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루이자 카슨 / 그린피스 글로벌 해양 활동가 : 펭귄 무리가 그들의 서식지를 어떻게 바꾸는지는 곧 기후위기가 얼마나 빠르게 남극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, 또 어업으로 인해 생태계의 파괴가 얼마나 빨리 진행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. 이는 우리가 이러한 지역들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입니다.] <br /> <br />국제환경운동단체 그린피스가 지난 1월부터 두 달 동안 남극 환경을 탐사한 결과 곳곳에서 기후 변화의 흔적이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온도 상승으로 해빙은 속절없이 녹아내리고, 곳곳에 얼음 조각들이 떠다닙니다. <br /> <br />남극 해빙 면적은 최저를 기록했던 지난 2017년과 비교해 서울 면적의 70배에 달하는 얼음이 또다시 사라진 것으로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[루이자 카슨 / 그린피스 글로벌 해양 활동가 : 남극 바다를 비롯한 전 세계 바다는 기후위기와 무분별한 어업 등의 영향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지구 온난화에 서식지를 옮기거나 터전을 잃어가는 남극 생물들. <br /> <br />그린피스는 이번 탐사 결과로 남극 생태계 피해가 확인됐다면서 남극 해역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혜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혜린 (khr08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1618363340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