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정부가 발표한 확진자 수가 어젯밤 9시에 집계된 확진자 수 44만 명보다 4만 명 적어졌습니다. <br> <br>시스템 오류로 누락된 확진자가 있었던 것인데 중앙정부가 사실상 집계를 포기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방역당국이 집계한 오늘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40만 624명, <br><br>하지만 어젯밤 9시 기준 서울시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집계한 확진자 수는 이미 44만 명을 넘은 상태였습니다. <br><br>취재진이 5개 시도가 집계한 확진자수를 확인한 결과 실제 방역당국이 발표한 것과 많게는 7천 명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. <br> <br>최종 확진자 수가 이처럼 차이나는 건 매우 이례적입니다. <br><br>방역당국은 전날 밤 수치엔 중복 사례와 오류 건수가 더해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] <br>"전문가의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하면서 상당히 많은 신고 건들이 들어왔기 때문에, 일정 시점 이후로 이 부분들을 정리해서…" <br> <br>하지만 현장의 말은 달랐습니다. <br> <br>방역당국의 집계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> <br>[A 지자체 관계자] <br>"확진자도 너무 많이 나와서 (질병청) 시스템이 먹통이 됐다고 해서.질병청에서 맞게 줄 때까지 한 새벽까지 기다렸는데 복구를 못했어요." <br> <br>[B 지자체 관계자] <br>"어제 날짜로는 전국이 맞는 데가 하나도 없을 거예요. 이거는 아예 질병청이 통계를 포기한 거예요." <br> <br>논란이 계속되자 결국 당국은 일부 확진자가 누락됐다고 토로했습니다. <br><br>병원에서 신속항원검사로 최종 확진 판정이 허용된 이후, 검사를 하는 병원 소재지가 정확히 입력되지 않으면서 시스템이 오류를 일으켰다는 겁니다. <br><br>방역당국은 누락된 확진자를 내일 집계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잘못된 정보로 국민들에게 혼선을 줬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추진엽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