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통화 긴축 신호탄…한국은 통화정책 수장 공백?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3년 3개월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본격 통화 긴축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향후 미국의 인상 전망과 물가를 감안하면 우리 기준금리 인상 압박도 매우 큰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 총재 인선은 늦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의 연방준비제도가 코로나 사태에 대응해 재작년 3월부터 유지하던 '제로금리'를 탈피했습니다.<br /><br />0.00~0.25%던 연방기금금리를 0.25~0.50%로, 0.25%포인트 올린 겁니다.<br /><br />연준은 앞으로 6차례 회의에서도 계속 올려 올해 말에는 1.9%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예상됐던 수준이라 시장에 충격은 없었지만, 이미 급등한 물가에 미국의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기준금리 인상 압력도 커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둔화하는 세계 경제 성장세를 고려하면 마냥 올리기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사태라든가 중국의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해 세계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고… 한은이 금리를 올리기 어렵게 만드는…"<br /><br />한은이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를 따라갈 경우 가계대출 이자 부담이 40조원 가까이 늘어난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. 한 집 당 이자가 340만원씩 불어나는 겁니다.<br /><br />상황이 이렇게 급하지만 통화정책 수장 한국은행 총재 자리에 공백이 생길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주열 총재 임기가 2주 밖에 남지 않았고 다음달 14일엔 통화정책회의가 열리는데 후임자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겁니다.<br /><br />총재 공백이 발생하면 일단 부총재가 직무를 대행하고 다음달 통화정책회의는 주상영 금융통화위원이 주재하게 됩니다.<br /><br />한은 총재 지명을 둘러싼 신구 권력간 갈등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이승헌 한은 부총재, 김소영 인수위 경제1분과 위원,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미국금리인상 #양적긴축 #한은총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