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각 부처들은 새 정부 조직 개편을 앞두고 인수위 업무보고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. <br> <br>생존하기 위한 혹은 내 업무는 지키고 다른 부처 기능은 뺏어오기 위한 치열한 복마전이 벌어지는 모습, 전혜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외교부는 이번 조직개편 때 통상 업무를 다시 가져와야 한다는 의견을 조만간 인수위에 전달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새 정부의 경제안보 정책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라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<br>통상 업무는 박근혜 정부 때 외교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 이관됐는데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다시 외교부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불발된 바 있습니다.<br> <br>이에 맞서 산업부는 "대외경제를 외교 관점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된다"는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그럼에도 통상 업무가 이관될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기술(ICT) 기능을 가져와 조직 축소를 최소화하겠다는 플랜B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산업부가 통상 업무 대응에 힘을 쏟는 사이 중소벤처기업부는 벤처산업 육성 성과를 인수위에 알려 기업 육성 기능이 산업부로 이전되는 것을 막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존폐 기로에 처한 부처들은 인수위 업무보고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은혜 /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] <br>"정부 조직과 관련해서는 이게 정부조직법 개정 사항과도 맞물려 있고 직제 개편은 기조분과와 인수위에서 논의해야 할 사안입니다." <br><br>여성가족부는 그동안 성과를 정리해 인수위 업무보고 때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입니다. <br> <br>교육부는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후보 시절 공약한 '교육부 폐지' 주장에 대해 고등교육 관리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를 인수위에 전달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인수위는 오늘 출범과 동시에 곧장 정부조직 개편 준비에 착수했는데 내부 논의를 거쳐 내달 초 최종안을 내놓을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한규성 <br>영상편집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