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 검토…'운명의 한 주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는 조만간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을 맞을 거라면서,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 검토에 나선다는 계획인데요.<br /><br />아직 확산세와 중환자 수가 여전해 신중하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당초 예상한 코로나 유행 정점 시기는 2월 말에서 3월 초.<br /><br />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의 급속한 확산세가 계속 이어지자 정부는 다시 이번 주로 정점을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정점을 지나면 현재 1급인 코로나19 감염병 등급도 2급으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이 경우 확진자 신고 방식과 관리 체계, 현재 국가가 전액 부담 중인 치료비 방침 등이 변경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당국은 또 이번 주부터 중증병상 입원자의 재원 적정성 평가를 통해 증세가 완화된 환자에겐 곧바로 퇴실 명령을 내릴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확진자 폭증에 따라 의료체계와 병상, 재정 등 제반 여건이 악화하며 감당하기 어려워진 데 따른 겁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이 당초 계절 독감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지만 위중증 환자가 1,000명을 넘고 하루 사망자가 수백명에 이르자 고령층에는 다시 위험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하위 변이의 등장으로 정점 시기가 늦춰질 수 있는 점, 하루 수십만명에 달하는 확진자들의 향후 중증화 가능성 등을 봤을 때, 코로나19의 심각성에 무감각해져선 안 된다고 경고합니다.<br /><br /> "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율이 자꾸 늘어요. 18.3%라고요. 이 얘기는 중증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이다… 그리고 정점을 찍고 내려간다고 해도 유행 종식이냐, 보장이 안 된다는 말이에요."<br /><br />잦은 방역지침 변경에 국민 혼란만 커진 가운데, 유행 속도와 규모, 추가 변수 등을 고려해 신중하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<br /><br />#코로나19 #오미크론 #감염병등급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