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3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2년 3월 21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김준일 뉴스톱 대표, 김종혁 전 중앙일보 편집국장, 복기왕 전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대변인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이 이제 사사건건 맞부딪히고 있습니다. 이 이야기 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. 먼저 이현종 위원님. 한 4시 조금 넘어서인가요? 청와대가 공식 입장을 밝혔어요.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, 여러 이야기가 있는데 시간이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, 합동참모본부, 청와대 모두 보다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게 순리일 것이다. 이렇게 빨리 이전을 추진하면 국가 안보에 우려가 있다. 이런 이야기입니까?<br><br>[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일단 오늘 점심때까지만 하더라도 청와대의 분위기는 일단 당선인 측에서 추진하는 것에서 협조할 수 있다. 또 더군다나 예비비가 원래 이제 국무회의를 통과하고 대통령이 이제 결재를 해야지만 예비비를 쓸 수 있지 않겠습니까. 원래 매주 화요일 이제 국무회의가 열리기 때문에 내일 아마 기획재정부가 예비비를 올릴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어요. 그만큼 이런 어제 윤 당선인이 밝힌 것이 이제 신, 구 정권이 협조 하에서 조금 잘 이루어질 것 같은 분위기였었는데, 오늘 청와대에서 NSC를 열었습니다.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었는데 그 회의 끝나고 난 다음에 조금 전에 보셨던 지금 박수현 소통수석이 입장을 밝힌 것처럼 굉장히 강경한 입장으로 돌아선 것 같습니다. 사실상 이제 지금 이전의 어떤 면에서는 동의를 하지만 당장의 어떤 안보 공백은 안 된다 그런 취지인 것 같은데요. 지금 이 상황 자체는 보면 이렇게 되면 아마 국무회의에서 통과하기 어렵다는 측면 같아요. <br><br>그렇게 되면 실제로 이제 아마 5월 10일 이 새로운 임기일 시작하기 전에 아마 이 예산안이 통과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 아닌가. 그렇게 예상이 됩니다. 그렇지만 신, 구 정권의 지금 대통령과 당선인이 만나지도 못한 상황에서 지금 사사건건 지금 계속 부딪히고 있는 것 같은데 이렇게 되면 아마 회동은 상당히 불가능해지지 않을까는 생각이 드는데. 저는 상당히 하나 유감스러운 게 그동안 문재인 정권이 개성공단 폭파 사태 또 해수부 공무원 납북 사태 등등에 대해서 우리가 그동안 북한에 여러 차례 미사일 도발에 대해서 도발을 도발이라고 말을 하지도 못했습니다. 그리고 또 한미 군사훈련이 지금 2년 가까이 지금 열리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><br>이런 상황에서 갑자기 이제 지금 청와대를 이전하겠다고 그러니까 갑자기 안보 공백을 이유로 해서 못하겠다고 이제 하는 것인데요. 그렇다면 이런 논리라면 청와대 이전은 아무도 할 수 없다는 이야기와 마찬가지입니다. 과연 이게 지금 진짜 안보를 걱정해서 그런지 아니면 현 윤석열 당선인 측의 어떤 일에 대해서 협조해 주지 못하겠다는 뜻인지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.<br> 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윤하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