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3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2년 3월 21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김준일 뉴스톱 대표, 김종혁 전 중앙일보 편집국장, 복기왕 전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대변인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청와대 이전 TF 팀장인 윤한홍 의원이 직접 나서서 민주당 1조 필요하다. 민주당 일부였죠. 김병주 의원의 이야기에 대장동, 광우병 사태, 경기도청 이전할 때 4700억 들었다. 꽤 거세게 맞받아쳤거든요?<br><br>[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네. 이게 지금 민주당에서는 이제 돈이 너무 많이 든다. 1조 원 든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인데요. 비용 문제는 종합적으로 봐야 될 것 같습니다. 왜냐하면 일단 지금 윤 당선인 측에서 제시하는 비용은 이제 현재에 있는 청와대를 지금 국방부로 옮기고 또 국방부가 옆에 있는 합참 건물로 이전하고 이 이제 비용들을 이제 추경을 한 거거든요? 당장 필요한 돈이죠. 왜냐하면 이제 청와대를 이전하는데 필요한 돈 이게 이제 지금 돈이라는 생각이 들고 그러면 앞으로 장기적으로 거기에 있는 합참을 이제 남태령으로 옮긴다든지 이럴 때는 또 추가적인 비용이 들겠죠. 그러면 한 현재 한 예상하기로는 한 1200 정도 든다고 하는데 그 비용은 나중에 이제 이전되는 비용이에요. 당장 지금 어떤 면에서 보면 청와대를 이전하는 데 드는 비용은 지금 500억이 안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고. <br><br>지금 이제 이 김병주 의원 이야기는 벙커 새로 짓고 거기에 새로 또 여러 가지 전파방지장치 할 거 하고 건물 새로 짓고 이런 비용들을 다 합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인데. 또 한편으로 보면 청와대라는 넓은 땅이 또 국민들 앞으로 또다시 돌아오지 않습니까. 그것에 대한 저는 기회비용도 생각해야 된다. 왜냐하면 청와대라는 땅이 지금 보면 제가 알기로 그게 한 7만 평 정도 되는 꽤 넓은 땅이거든요? 그러면 그게 지금 국민들 앞으로 온전히 온다고 그러면 그것 또한 전체로 보면 비용으로 따져본다고 그러면 그것도 어마어마한 돈이거든요. <br><br>(잠시만요. 그러니까 500억이 들든 1000억 이상 들더라도 청와대를 국민들께 개방을 했을 경우의 부가가치, +가 되는 금액도 상상 이상이다. 이 말씀 하시는 건가요?) 그렇죠. 국민들이 또 누릴 수 있는 여러 가지 혜택들이 있지 않습니까. 그러니까 이 비용을 단순히 지금 청와대를 옮기고 그다음에 이제 지금 민주당이 주장하는 것처럼 옮기고 다 새로 짓고 모든 것을 다 새로 한다. 이렇게 드는 것보다는 조금 더 종합적으로 우리가 추경해 봐야 한다.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.<br> 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윤하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