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는 11월 17일 실시 되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·이과 통합 시험으로 치러집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킬러 문항'으로 불리는 초고난도 문항의 출제는 피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계훈희 기자! <br /> <br />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23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 계획을 발표했죠? 내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11월 17일 치러지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본 출제 방식은 지난해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해 지난해 수능에 처음 도입된 문·이과 통합형 체제는 올해도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국어와 수학 영역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체계로 치러집니다. <br /> <br />국어는 독서·문학이 공통과목이고 화법과 작문, 언어와 매체가 선택 과목입니다. <br /> <br />수학은 수학Ⅰ·수학Ⅱ를 공통과목으로 치르고 확률과 통계, 미적분, 기하 중 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사회탐구영역과 과학탐구영역은 문·이과 구분 없이 통합돼 17과목 중 최대 2과목을 선택하면 됩니다. <br /> <br />EBS 교재· 강의와 수능 출제 연계율은 영역·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%를 유지합니다. <br /> <br />첫 문·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치러진 지난해 수능은 선택과목에 따른 유·불리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는데 <br /> <br />이에 대해 평가원은 "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완전히 극복하기 어렵지만, 집단적으로 문과에 불리하고 이과에 유리하다고 보는 것은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적합하지는 않은 지적"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"현재 문·이과 통합 교육과정이 학생들이 진로 적성에 따라 선택권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기여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가원은 수험생에게 수능 문제 유형 적응 기회를 주고, 난이도 조정을 위해 올해도 본 수능에 앞서 6월과 9월 두 차례 모의 평가를 실시합니다. <br /> <br />수능 출제 오류 방지와 이의심사제도 개선 방안도 발표됐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검토 과정 개선 방안으로 출제·검토위원이 정답률이 낮다고 판단한 문항은 기존 검토 절차에 더해, 한 번 더 검토하는 절차를 신설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킬러문항'으로 불리는 초고난도 문항의 출제를 지양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2022학년도 수능 결과와 6월·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을 통해 적정 난이도 유지에 노력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검토자문위원도 현행 8명에서 12명으로 확대하고, 출제 기간은 36일에서 38일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계훈희 (khh021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2214242193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