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보신 것처럼 청와대는 안보 공백을 우려하며 집무실 이전에 반대했지만 그제 북한이 쏜 방사포 발사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이번에도 애매합니다.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은 9.19 군사합의 위반이다, 서욱 국방장관은 위반이 아니다. 엇갈리는 의견을 냈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북한이 쏜 방사포 네 발을 언급하며 명백한 9·19 합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<br> <br>[윤석열 / 대통령 당선인] <br>“(북한 도발이) 올해만 11번째인데, 방사포는 처음이죠? 그렇죠? 방사포는 9·19 합의 위반 아닙니까. 명확한 위반이죠?” <br> <br>그러면서 군 당국에 안보상황을 빈틈없이 챙겨 달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서욱 국방부 장관은 국회에 나와 군사합의 위반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[민홍철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9·19 군사합의 그 지역 범위 내에 있어요?" <br> <br>[서욱 / 국방부 장관] <br>"아닙니다. 그보다 훨씬 북쪽입니다. 그 속보를 보지 못했는데 합의한 지점은 아닙니다." <br> <br>2018년 남북은 적대행위 중지 차원에서 서해의 경우 남쪽 덕적도부터 북쪽 초도 사이 135km 구간을 완충 수역으로 두고 포사격과 기동훈련을 금지하기로 합의했습니다.<br> <br>서 장관은 북한의 방사포 발사 지점이 완충 수역 북쪽이라는 이유로 위반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"방사포 발사장소와 낙하지점이 명확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9.19 합의 위반이 아니라고 단정하는 것은 북한 감싸기"라고 날을 세웠습니다.<br> <br>완충 수역에 탄이 떨어져도 합의 위반인데 군은 방사포가 어디에 떨어졌는지 명확하게 밝히진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북한이 수없이 미사일과 방사포를 쏴도 '대남이 아닌 대미용이다, 남쪽 우리 방향으로 쏘지 않았다, 우리도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한다'는 이유로 합의 위반이 아니라고 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앞으로 윤석열 정부는 북한 도발과 군사합의 위반에 대해 보다 엄격하게 원칙대로 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한규성 <br>영상편집 김민정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