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시 돌아올 수 있을까…국경 넘은 피란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한달 사이 350만명이 포성을 피해 우크라이나를 빠져 나왔습니다.<br /><br />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인구 이동 중 최대규모인데요.<br /><br />가족을 잃거간, 두고온 이들의 슬픔은 국경 곳곳에서 목격돼 안타까움을 자아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은 맞고 있는 유럽 각국의 고충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남부 체르니우치에서 김승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1일 폴란드 국경 부도미에즈 검문소.<br /><br />러시아군의 폭격을 피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떠나온 15살 소년 보흐단 슈코다는 혈혈단신으로 국경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몸이 불편한 아버지, 그런 아버지를 돌봐야 하는 어머니를 두고 구호단체의 도움을 받아 피란길에 오른 겁니다.<br /><br /> "여기 폴란드에서는 제 걱정은 하지 않기 때문에 기분이 낫긴 하지만 가족과 엄마, 아빠가 걱정이 됩니다."<br /><br />지난달 24일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를 빠져나온 난민은 350만명이 넘습니다.<br /><br />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인구 이동 중 최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난민 규모가 8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변변한 짐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채 고국을 떠난 이들을 인접 국가들이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고, 인권단체들이 국경에서 구호활동을 하고 있지만 두려움과 비참함은 이루 말 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벌써 4주가 됐습니다. 모두가 지쳐있습니다. 모든 뉴스에서 보듯 국경에는 점점 두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유엔아동기금은 국외 피란민 중 150만명 이상이 아동이고 이들이 인신매매 등을 당할 위험이 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폴란드가 210만 명을 받아들였고, 루마니아(54만명), 몰도바(37만명), 헝가리(31만명), 슬로바키아(25만명)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는데, 대부분 수용 한계에 이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유럽 최빈국 몰도바의 경우 인구의 약 14%에 해당합니다.<br /><br />쏟아지는 난민은 유럽연합, EU의 난민 정책은 물론 사회, 경제 분야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난민은 대체로 접경국인 동유럽 국가에 머물지만 점점 서유럽으로도 이동 중입니다.<br /><br />독일은 미국 등 대서양 넘어 국가들에서도 난민을 수용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EU는 전례 없는 지원을 약속했으나 문제는 유럽 전역에 걸쳐 인도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에서 어디에 어떻게 도움의 손길을 배분하느냐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 국경 검문소 앞에서 연합뉴스 김승욱입니다.<br /><br />#러시아 #우크라이나_침공 #피란민 #최대_난민_위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