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에 보급 역할을 하는 대형 군함을 파괴했습니다. <br> <br>수도 키이우 주변에선 러시아군이 거센 항전에 밀려 외곽으로 후퇴했습니다. <br> <br>염정원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우크라이나 남동부의 항구 베르단스크가, 뻘건 불길과 함께 검은 연기에 휩싸였습니다.<br><br>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받은 러시아 군함 '오르스크'에는 탱크 20대와 장갑차 45대, 병력 400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수도 키이우 근처에서도 러시아군은 수세에 몰렸습니다. <br> <br> 격추된 헬기와 부서진 탱크가 보입니다. <br> <br> 러시아군 일부는 도심에서 70㎞ 밖으로 퇴각했다고 우크라이나군이 전했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우리는 이번 달 모든 러시아 공격을 막아 세웠습니다. 세계는 러시아에 대해 큰 제재를 했고 더 많은 제재를 논의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벨라루스 국경에선 전사하거나 다친 러시아 군을 이송하는 버스 행렬도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러시아군의 무차별 공격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 하르키우에서는 6명 이상 희생되고 15명이 다쳤습니다, <br> <br>[빅토르 니키티예프 / 하르키우 주민] <br>"갑자기 천장이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. 옷을 더 껴입고 나왔더니 다 무너졌어요. 여기 2층짜리 집이 있었는데 지금 무너졌습니다." <br> <br> 다급해진 러시아군이 민간인을 인질로 삼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 마리우폴 시민 6천 명을 포함해 민간인 40만 명이 러시아로 강제 연행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유엔은 긴급특별총회를 통해 전쟁의 책임이 러시아에 있다는 결의안을 채택했고, 나토는 불가리아와 헝가리 등에 4개 전투단을 배치해 대응 태세를 강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