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통상 분야’ 2013년 외교부 → 산업부 이관 <br />외교부 "경제·안보 직결…통상+외교 함께 해야" <br />산업부 "산업 정책과 일체화된 통상 전략 필요"<br /><br /> <br />미·중 갈등이 심화하고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, 통상교섭 업무를 새 정부에선 어느 부처가 맡을지가 관심사입니다. <br /> <br />2013년 외교부에서 산업부로 넘어온 통상 기능이 다시 외교부로 이동할지가 핵심인데 두 부처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부처별 업무보고 셋째 날인 지난 24일, <br /> <br />외교부는 외교안보 분과에,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2분과에 각각 업무보고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새 정부 조직 개편의 '뜨거운 감자'인 통상교섭 기능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는 부처들입니다. <br /> <br />통상 업무는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 때 외교부에서 산업부로 이관됐는데, 이걸 9년 만에 외교부가 다시 찾아오느냐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외교부는 요즘처럼 경제와 안보가 직결되는 시대에는 통상과 외교를 함께 다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재외 공관을 활용해 상황을 수시로 파악하고 기민하게 대처하면 지난해 말 중국발 요소수 대란 같은 일은 막을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산업부는 '산업 정책과 일체화된 통상 전략'으로 시너지를 내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안정적으로 대응하려면 실물 경제 부처 중심으로 통상 리더십을 세워야 한다는 논리입니다. <br /> <br />두 부처 모두 업무보고에서 이런 논리를 강조한 가운데, 인수위는 이제 논의가 시작됐을 뿐이라며 결론이 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원일희 /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수석부대변인 : 정부조직법 개편은 기조분과가 중심이 돼서 종합적 포괄적으로 새 정부의 효율적인 국정 운영에 대한 조직개편안을 폭넓게 논의를 시작한 단계입니다.] <br /> <br />다만, 윤석열 당선인의 외교안보 공약을 설계한 김성한 인수위 간사가 이명박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2차관을 지낸 만큼 외교부에 유리한 거 아니냐는 해석도 있지만, 산업통상이 시너지를 낸 사례도 있는 만큼 어디로 결론 날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연 (hongkiz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2605193625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