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45일 후면 더불어민주당도 여당에서 야당이 되지요.<br> <br> 정권을 넘기기 전 ‘특검’카드를 빼 들었습니다.<br> <br> 172석이고 또 문재인 대통령이 ‘아직은’ 특별검사를 최종 낙점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 ‘대장동’을 앞세웠습니다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새 정부를 임기 초부터 압박하겠다는 전략을 엿볼 수 있습니다.<br> <br> 김성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 김용민·이수진(서울 동작을) 의원이 각각 특검법안을 발의했습니다. <br> <br>수사대상은 대장동 개발 관련 수사 무마 등 윤석열 당선인 본인, 허위 경력 기재 등 부인 김건희 씨와, 부동산 불법 투기 등 장모 최모 씨 관련 일명 '본·부·장' 의혹입니다. <br><br>이들은 "검찰이 윤 당선인 일가 비리 의혹에 대해 시간 끌기와 봐주기 수사를 반복하면서 검찰의 중립성과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”며 특검법 발의 이유를 밝혔습니다.<br> <br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어제)] <br>"대장동 특검과 정치개혁 입법도 국민의힘이 한 발짝 앞으로 나오도록 설득해 가겠습니다." <br> <br>민주당은 국민의힘 설득을 얘기했지만 앞으로 44일, 문재인 대통령 남은 임기 안에 특검법 처리와 특검 임명까지 무조건 끝낼 계획입니다. <br> <br>172석으로 밀어붙인다면 국회 본회의 통과, 특별검사 후보추천위원회 구성과 특검 추천, 대통령의 임명까지 가능하다는 계산입니다. <br><br>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"정권발 비리 수사 원천 봉쇄 꼼수이자 대선불복"이라며 "절대다수 의석을 흉기로 사용하고 있다"고 반발했습니다.<br> <br>또 대장동 비리 수사에는 이재명 전 경기지사가 당연히 포함돼야 하고 특검을 한다면 새 정부에서 임명해야 한다는 입장이라 한치의 양보도 없는 정면 충돌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