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저희 오픈스튜디오가 있는 광화문 청계천이 복원됐을 때만 해도 찬반이 엇갈렸습니다만 <br><br>연간 천만 명 넘게 찾는 명소가 되었죠. <br> <br>청와대는 어떨까요?<br> <br> 지금은 이전 비용이 주로 논쟁거리지만. 공개했을 때 경제효과도 상당하다는 예측결과가 나왔습니다.<br> <br> 이민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윤석열 / 대통령 당선인 (지난 20일)] <br>"청와대는 임기 시작인 5월10일 개방해 국민께 돌려드리겠습니다. 본관, 영빈관을 비롯해 녹지원과 상춘재를 모두 국민들의 품으로 돌려드리겠습니다."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의 임기 첫날인 5월 10일부터 청와대를 개방할 경우 최소 연간 2055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<br>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청와대 방문객의 인근 상권 소비가 늘면서 1490억원 생산유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. <br> <br>부가가치유발 효과도 연 565억원에 달합니다.<br> <br>고용도 연간 1270명 안팎으로 늘어 침체된 청와대 주변 상권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 조사는 연간 300만명인 경복궁 방문객을 기준으로 이뤄졌는데, <br> <br>인수위는 향후 청와대 방문객이 연간 20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06년 청계천 복원 직후 연간 2000만명 이상이 방문했는데, 청와대 개방은 청계천 복원보다 국민적 관심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인수위 관계자는 "청와대의 문화적 가치, 규제 해제에 따른 파급 효과 등이 반영되면 경제적 효과는 더 커질 것"이라고 내다봤습니다.<br> <br>인수위는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따른 비용 500억 원보다 청와대 공개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더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약 25만㎡ 면적으로 미국 백악관보다 3배 이상 큰 청와대를 도심 한복판 쉼터로 바꿔 새 국가 명소로 만드는 방안 마련에도 본격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이민찬 기자 leem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