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 정부에서 임명된 산하 기관장들의 사퇴를 종용했다는 이른바 '산업부 블랙 리스트'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공기업 8곳을 추가 압수수색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임기를 앞두고 사퇴했던 전직 기관장은 산업부 고위직으로부터 사표 제출 압력을 받았다며 장관 지시가 있었을 거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5일, 산업통상자원부를 압수수색 한 검찰이 사흘 만에 다시 자회사 8곳을 동시다발 압수수색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전력 산하 발전 자회사 4곳과 해외자원개발사업 관련 공공기관 4곳으로 모두 기관장 사퇴 종용 의혹이 제기된 공기업들입니다. <br /> <br />[한국남동발전 관계자 : (압수수색) 오전 10시 반 정도부터 시작했습니다. PC에 있는 파일들을 찾아서 가져가니까 물품을 전체 가져가는 건 아닌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초기이던 지난 2017년 9월, 1년 이상 임기를 남겨둔 발전 자회사 4곳 기관장들은 동시에 사표를 제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당시 산업부 장관과 차관의 압박으로 사퇴가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사직서를 제출했던 한 기관장은 YTN 취재진과의 통화에서, <br /> <br />정권 교체 초기 사퇴 압박이 이뤄졌고 원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사직서를 낼 수밖에 없었다고 털어놨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당시 산업부 고위 관계자가 서울의 한 호텔로 불러내 만남이 이뤄졌고, 바로 윗선인 장관과 차관이 얽혀 있을 거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도 3년 전 첫 고발이 이뤄졌을 당시 참고인 조사를 통해 해당 진술을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당시 인사에 관여했던 부서를 중심으로 해당 진술을 뒷받침해줄 증거를 찾는 데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압수물 분석 뒤 조만간 백운규 전 산업부 장관과 이인호 전 차관 등에 대한 소환 조사 시기도 저울질한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대선 이후 문재인 정부 인사를 겨냥한 검찰의 첫 수사인 만큼 대상이 어디까지 확대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대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대겸 (kimdk1028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2822211104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