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주 '수능 리허설'로 불리는 3월 학력평가가 있었죠.<br /><br />문·이과 통합방식으로 수능처럼 출제됐는데 계열간 유불리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다만 단순히 유불리만 보고 선택과목을 섣불리 바꿔서는 안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월 학력평가의 수학은 지난해 수능보다 쉬웠지만 작년처럼 선택과목에서 난이도가 갈렸다는 게 입시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보통 상위권, 이과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'미적분', '기하'가 '확률과 통계' 보다 어려웠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표준점수는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보여주는데, 난도가 높은 시험일수록 높게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에 문이과 유불리가 재연되는 모습인데, 학력평가 이후 선택과목을 바꾸려는 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이과 수학 선택이 유리한 거기 때문에 고3학생들도 미적분·기하 선택률이 늘어나고 있고 특히 재수생들은 문과이지만 이과 수학을 선택하는 학생이 전년에 비해서 높아지고 있는 추세기 때문에…"<br /><br />다만 전문가들은 단순히 높은 표준점수를 쫓아가기 위한 섣부른 선택과목 변경은 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3월 학력평가 이후가 선택과목을 바꿀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건 맞지만 자신의 학력과 학습 부담 등을 고려해 바꿔야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공부의 양 같은 걸 계산해보면 이게 벅차거든요. 지난 겨울 방학때부터 해왔다면 모를까, 지금에 와서 바꾸는 건 어렵지 않나…"<br /><br />또 학력평가는 재수생들이 포함되지 않아 정확한 학력을 측정하기 어려울 뿐더러 올해는 성적이 집계되지 않는 재택응시자들이 늘어 더욱 자신의 학력을 보수적으로 평가해야한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 (yigiza@yna.co.kr)<br /><br />#문이과통합수능 #3월학평 #선택과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