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대통령과 당선인 회동의 온기는 하루, 그러니까 24시간도 채 가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어젯밤엔 역대 가장 긴 화기애애한 만남이었다고 평가하더니, 오늘은 다시 싸늘해졌습니다. <br> <br>어제 회동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용산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“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”고 발언했는데요. <br> <br>여기서 방점은 협조가 아니라 ‘면밀히’였습니다.<br><br>오늘 국무회의가 있었지만 예비비 안건은 올리지 않았고, 인수위가 예비비를 다시 짜오면 그 때 검토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<br>전해집니다. <br> <br>5월10일 용산시대 개막은사실상 물건너 갔다는 평가입니다. <br> <br>첫 소식, 우현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어제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회동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문재인 정부의 예비비 처리는 당장 이뤄지기 어려울 전망입니다. <br> <br>[장제원 /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(어제)] <br>"문재인 대통령께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 지역에 대한 판단은 차기 정부의 몫이라고 생각한다. 지금 정부는 정확한 이전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.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."<br> <br>청와대가 오늘 예비비 처리 '협조'보다는 '면밀히 살핀다'를 강조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청와대 관계자는 "용산 이전 협조 제공은 틀린 표현"이라며 "용산이라는 지역을 명시한 적도 없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또다른 관계자는 "안보공백 우려 해소가 담긴 새로운 예비비 안을 다시 짜와야 한다"면서 "새 예비비안을 두고 면밀하게 검토할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안보공백 해소가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에서 바뀐 게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[박수현 / 대통령 국민소통수석(지난 21일)] <br>"정부 교체기에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의 이전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충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고"<br> <br>결국 인수위가 새로운 안을 제시할 때까지 예비비 처리가 어려워지면서 윤 당선인이 취임하는 5월 10일 용산 이전은 사실상 무산됐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