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 달 1일 그러니까 이번주 금요일부터 카페와 음식점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과 나무젓가락을 쓰면 최대 2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었습니다. <br> <br>시행을 불과 나흘 앞둔 어제 환경부가 과태료 대신 계도에 중점을 두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. <br> <br>자영업자들은 혼란스러워합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차가운 음료를 담아주는데 주로 이용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. <br> <br>4월부턴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이 금지돼 업주들은 만반의 준비를 해왔습니다. <br><br>그런데 환경부가 제도 시행을 불과 나흘 앞두고 위반 시 과태료 부과 방침에서 무기한 계도로 한발 물러났습니다.<br> <br>[김지은 / 카페 사장]<br>"머그잔을 크기별로 해놨어요. 20여 개를 돈들여서 준비해놨는데. (일회용품) 쓰라는 거야, 말라는 거야' 이렇게 될거 같아서. <br> <br>갑작스런 지침 변경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민생 경제를 모르는 탁상행정이라고 제동을 걸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안철수 / 대통령직인수위원장(어제)] <br>"코로나19가 잠잠해질 때까지는 일회용 컵 규제를 유예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미래를 위해선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던 정부도 난감해졌습니다. <br> <br>[김부겸 / 국무총리] <br>"솔로몬의 지혜와 같은 합리적인 대안이 필요할 때입니다." <br> <br>업주들과 시민들은 환경 보호와 코로나 위생 사이에서 고민이 깊습니다. <br> <br>[김구 / 카페 사장] <br>"저희는 그대로 갈 거예요.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진 모르겠지만 (과태료 부과의) 정확한 시기가 정해졌으면 좋겠어요." <br> <br>[장재인 / 서울 서대문구] <br>"일회용 컵을 더 선호할 것 같아요. 아직 코로나도 안 끝나고 확진자도 계속 나오고 있는 추세니까." <br> <br>정부의 오락가락 행정으로 일회용품 규제 정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철 박희현 이승헌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홍유라 기자 yur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