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통상' 둘러싼 외교부·산업부 신경전에…인수위 경고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 개편안 마련에 속도를 내면서 관계 부처 사이 신경전도 고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통상 기능을 다시 가져가려는 외교부와 그대로 유지하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여론전이 치열한데, 이에 인수위가 공개 발언은 적절치 않다며 제동을 걸었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년 전, 눈길을 끄는 우산이 등장한 적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후보 시절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사무실로 출근하는 장면이었는데, 정 장관이 쓴 우산에 MOFAT, 즉 외교통상부라고 쓰여 있었던 겁니다.<br /><br />당시 외교가에서는 통상 기능을 외교부로 가져와야 한다는 정 장관의 '메시지'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, 지금 윤석열 정부로의 이양기를 맞아 관련 논의에 불이 붙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인수위가 정부조직개편안 초안을 마련 중인 가운데, 관계 부처의 여론전이 치열한 상황.<br /><br />외교부는 고위 당국자의 간담회를 마련해 "통상 업무가 산업부로 넘어가면서, 팔과 다리가 묶인 상황에서 경주를 해야 하는 상황"이라고 하소연했고, 미국 측이 한국의 통상교섭 기능의 외교부 이관을 우려한다는 뜻을 전달했다는 언론 보도에는 밤 늦은 시각 반론 입장문을 배포하며 강한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산업부는 이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산업부는 시대 변화로 인해 통상과 산업이 불가분의 관계가 됐다며 유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통상교섭 기능은 1994년 상공부가 통상산업부로 개편되면서 일원화됐습니다.<br /><br />그 뒤 김대중 정부의 출범과 함께, 그 기능이 외교부로 넘어가 외교통상부가 됐고, 박근혜 정부 출범을 계기로 다시 산업부로 이관돼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했습니다.<br /><br />두 부처의 신경전이 거세지자 인수위가 나서서 제동을 걸었습니다.<br /><br /> "큰 틀에서 인수위가 검토하는 이 상황에서 개별 부처에서 공개적인 발언이 나오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그러면서 조직 개편안과 관련해선, 전체적인 그림이 마련돼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조금 기다려 달라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#외교부 #산업통상자원부 #통상_이관_신경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