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은도 못 피한 공사 대란…전국 현장마다 '아우성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원자재 공급이 불안해지자 원자잿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공사 지연에,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며 공사를 중단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19년 12월 첫 삽을 뜬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 통합 별관 공사.<br /><br />시공사는 조달청과 약 2,800억원을 받고 올해 3월까지 완공하는 계약을 맺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조달청에 공사 기간을 10월까지 연장하고 공사비도 318억원 올려줄 것을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 "자재가 가격이 올라갔으니까… 물가 변동이 된 것을 저희가 청구를 하는 거죠."<br /><br />지난 분기 건설자재값은 한 해 사이 30% 가까이 올랐습니다.<br /><br />2008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상승폭입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원자재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탓인데, 시멘트 제조에 쓰이는 유연탄값은 3배 가까이 뛰었고, 철강재용 고철은 1.6배, 쇳물 생산에 필요한 제철용 원료탄 가격은 4.6배 넘게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사정이 이러다보니 한은 공사뿐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공사 대란이 벌어지는 중입니다.<br /><br />철근콘크리트연합회 수도권 지부는 물가를 반영해 공사비를 올려달라며 이달 초에 이어 또 파업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1만2천 가구가 들어서는 초대형 사업인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도 공사비 증액을 둘러싼 갈등으로 지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건설업계는 정부가 수급 불안 해소를 위해 나서줄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글로벌 현상으로 번지고 있어 개별 기업들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. 정부가 수입선을 다변화한다거나 사재기하는 사람들 단속을 한다거나…."<br /><br />정부는 상황을 주시하며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게 고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<br /><br />#건설자재값 #한국은행 #시멘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