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산업부 블랙리스트'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압수물을 분석하며 핵심 물증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 소환조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은 환경부와 산업부에 이어 교육부에서도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 초기 산하기관장들에 대한 사퇴 종용이 있었다는 정황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준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동부지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검찰 수사 상황부터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검찰은 고발 3년여 만에 산업부와 8개 산하기관까지 모두 9곳에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인 뒤 압수물 분석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분석을 마치는 대로 이르면 다음 주부터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압수물 포렌식 과정에서 검찰이 확인해야 할 내용이 있으면 인사 담당자들을 먼저 불러 관련 자료를 확인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우선 고발장에 적시된 기관장 사퇴 종용 의혹부터 살펴보고 있지만, 사퇴 이후 후임자 선정 과정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는지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까지 검찰 수사가 진행된 블랙리스트 의혹은 환경부와 산업부에 대한 건데, 교육부에서도 비슷한 정황이 확인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이 환경부와 산업부뿐만 아니라 교육부와 통일부,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국무총리실 등에 대해서도 같은 의혹을 제기했는데요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초기 각 산하기관 임원에 대한 조직적인 사퇴 요구가 잇따랐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서울동부지검은 교육부와 과기부 등 고발 사건도 맡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저희 YTN 취재진이 당시 사표를 낸 한 교육부 산하기관장 A 씨와 통화가 닿았습니다. <br /> <br />A 씨는 자신이 재임 중이던 지난 2017년 7월 교육부 담당 국장이 찾아와 사퇴를 요구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A 씨는 자신을 찾아온 국장에게 "전임들은 모두 임기를 채웠다"며 거부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는데요. <br /> <br />또 국장이 가만히 앉아 자신의 얼굴을 빤히 쳐다보면서 상당히 불편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국장은 한 차례 더 찾아왔고 직접 "사표를 가져가겠다"고 재촉했다는 게 A 씨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A 씨는 임기를 1년 남겨두고 '일신상의 이유'라는 명목으로 사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준엽 (leej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3109441792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