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산업부 블랙리스트'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다른 부처 산하기관장들에게서도 비슷한 사퇴종용 진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3년 전 통일부와 교육부 등 여러 부처 산하기관장에 대해서도 이미 참고인 조사를 마친 가운데 직권남용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 확보가 수사의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준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은 검찰 수사가 진행된 환경부와 산업부 외에도 여러 부처 산하 기관장에게 사퇴 종용이 있었다며 검찰에 고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은 당시 언급된 인물들 외에도 임기를 채우지 못한 산하기관장들을 접촉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정권이 바뀌고 새 시대를 열라는 의미에서 자발적으로 사표를 냈다는 기관장도 있었지만. <br /> <br />직접적인 사퇴 압박을 느꼈다는 진술도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B 씨 / 당시 교육부 산하기관장 : 저도 8월 30일부로 했는데 하나(사표) 내라고 그러는 걸 이제 제가 9월 한 3, 4일까지 이삼일을 달라.] <br /> <br />임기 2년을 남기고 그만둔 여성가족부 산하 기관장 C 씨는 계속된 감사로 압박을 느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C 씨 / 당시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장 : 내가 그만두는 건 내가 직원들 때문에 애들이 나 때문에 너무 고통을 받을 것 같아서 왜냐하면 계속 감사가 나오더라고요.] <br /> <br />대대적인 압수수색으로 산업부 블랙리스트 사건부터 수사에 나선 검찰은 비슷한 의혹이 불거진 다른 부처들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통일부와 교육부, 과기부 등 고발장이 접수된 전직 산하기관장들에 대해선 대부분 이미 3년 전 참고인 조사도 마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는 직접 검찰에 출석해 조사받았고, 검찰 요구로 의견서를 제출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다수 기관장으로부터 직접 사퇴 요구를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만큼 검찰 수사는 관련 증거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유죄 판결이 확정된 환경부 사건에선 당시 산하기관 임원 동향과 사퇴 여부를 목록으로 정리한 내부 문건이 핵심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산업부와 산하기관에서 압수한 자료 분석을 마무리하는 대로 핵심 관계자들에 대해 본격적인 소환조사에 나설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준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준엽 (leej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3123172857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