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번 사고는 학생 조종사들 교육에 나섰다가 벌어졌는데요. <br> <br>KT1 훈련기 간의 공중 충돌 사고는 처음 있는 일입니다. <br> <br>숙련된 교관도 함께 타고 있었는데, 이륙 5분 만에 어쩌다 이런 사고가 발생했을까요. <br> <br>한수아 기자가 이어갑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KT-1 훈련기 두 대는 공군 제3훈련비행단에서 낮 1시 32분부터 차례로 이륙했습니다.<br><br> 앞선 KT-1 훈련기는 공중 비행훈련을 위해 먼저 활주로를 떠났고 뒤따라 이륙한 훈련기는 계기비행 방식으로 운항 중이었는데 5분 만에 공중에서 충돌해 추락한 겁니다. <br><br> 계기비행은 직접 맨눈으로 지형지물을 파악하는 시계비행과 달리 항공기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와 관제사의 지시에만 의존하는 비행 방식입니다. <br><br> 기상 상황이 좋지 않거나 시야가 어두울 때를 대비한 훈련입니다. <br> <br> 우리 기술로 개발돼 2000년 처음 배치된 KT-1 훈련기는 임관 1년 정도 된 초중등 조종사가 기본 교육을 받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. <br> <br> 이번 사고로 순직한 학생 조종사 역시 지난해 임관한 공군 중위 2명으로 소속 대대는 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동급 훈련기 가운데 확보할 수 있는 시야가 최고 수준이며 교관까지 함께 탑승할 수 있어 KT-1 훈련기 사고가 이례적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 지난 2003년 11월에도 비행 교육 중 KT-1 훈련기가 추락해 1명이 숨졌습니다. <br> <br> 당시 공군은 조종사가 엔진 전자제어장치 스위치를 잘못 조작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공군은 지상관제 문제와 기체 결함 문제 등 여러 가능성을 놓고 참모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행사고 대책본부를 구성해 정확한 피해 상황과 사고 원인에 대해 조사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한수아 기자 sooah72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