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유럽, 러시아는 옛소련 붕괴 이후인 1990년대부터 우주 개발에 긴밀히 협력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인과 유럽인이 러시아의 로켓으로 국제우주정거장을 오가는 일이 흔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이런 협력관계도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송태엽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옛소련 붕괴 이후인 1998년 첫 번째 러시아 로켓이 궤도에 안착합니다. <br /> <br />우주협력의 상징인 국제우주정거장 ISS 계획이 시작된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유럽이 투자했고 2008년 일본이 제작한 10억 달러짜리 연구실이 자리를 잡으면서 완공됐습니다. <br /> <br />[마크 반데 하이 / 미국 우주인 (작년 4월 우주정거장 출발 전 기자회견) : 처음 시작할 땐 우리(미국과 소련)는 경쟁했습니다. 인류가 초기 우주비행에 성공한 이유이기도 하죠. 하지만 시간이 가면서 협력으로 얻을 게 더 많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ISS에 355일을 머물러 미국인 중 최고 기록을 세운 반데 하이가 돌아온 지상은 전쟁 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미국은 강력한 제재조치로 대응했고 러시아는 미국 기업에 우주선 엔진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우주국의 화성탐사 계획 중단에 반발해 유럽 우주선에도 로켓 제공을 거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드미트리 로고진 /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사무총장 (26일) : 러시아와 유럽 사이의 우주 협력은 이제 러시아보다는 유럽 측의 태도에 달려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동안 1인당 수천만 달러를 내고 러시아 우주선을 이용해온 미국은 러시아의 협력이 아직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[빌 넬슨 / 미국 나사 고위 관계자 : 드미트리 로고진이잖아요. 종종 그렇게 화를 내죠. 하지만 결국은 우리와 같이 일했어요.] <br /> <br />하지만 오는 6일에는 처음으로 ISS에서 일주일을 머물 관광객이 스페이스X 우주선을 타고 떠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민간 우주 산업이 발전하면서 우주개발을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도 변화를 겪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송태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태엽 (tay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40204043215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