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에 경제 제재까지 겹쳐 북한은 인민들이 힘든 생활을 버티고 있는데도, 천문학적 액수가 드는 ICBM은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있죠.<br> <br> 그 돈, 다 어디서 났을까요?<br> <br> 북한이 ‘암호화폐’를 도둑질 했다는 폭로가 나왔습니다.<br> <br> 강은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계속된 국제 제재 속에서 진일보한 ICBM 기술력 확보를 위한 자금 조달의 배경에는 사이버 공작원들이 있었습니다. <br><br>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"북한이 2020년부터 2021년 중반까지 북미와 유럽, 아시아 등 가상화폐 거래소를 공격해 5천만 달러, 우리 돈 600억 원 정도를 훔쳤다"고 보고서를 통해 밝혔습니다.<br> <br>또 북한이 지난해 가상화폐 플랫폼을 7차례 이상 공격해 4억 달러, 우리 돈 4800억 원을 챙겼다고 추정했습니다. <br><br>사이버 공격 배후로 해킹조직 '라자루스'가 지목됐는데, 정찰총국 산하 정예 사이버 공작부서인 '기술정찰국'입니다.<br> <br>[유동열 / 자유민주연구원장] <br>"공격원점을 노출시키지 않고 쉽게 돈을 빼 갈 수 있는 데가 이쪽이거든요. 가상화폐를 통해서 털어 가는데, 국내에서도 4500억 털렸어요. 지난 6년 동안."<br> <br>유엔 대북제재위는 또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에서 대량살상무기용 부품을 조달한 과정도 폭로했습니다. <br><br>탄도미사일용 액체연료에 쓰이는 특수 스테인리스 합금과 SLBM 본체용 합금 등은 러시아에서, 미사일 엔진용 합금과 밸브, 펌프와 베어링 등은 중국을 통해 조달됐다는 겁니다.<br> <br> 미국은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해 추가 제재를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 로켓산업부 등 5개 기관이 8일 만에 제재 대상으로 추가됐습니다. <br> <br> 바이든 정부 들어 4차례 제재를 내렸지만 이처럼 북한의 회피 수단이 다양해지고 교묘해지면서 제재 실효성에 대한 의문만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 방성재<br /><br /><br />강은아 기자 eun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