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전쟁이 부른 식량 재앙…최대 피해자는?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.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세계 '식량 위기'를 불러왔습니다.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은 물론 아프리카부터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가들까지 비상입니다. 식품 가격 폭등에 기아 공포도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. 자카르타에서 성혜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전쟁 탓에 세계 식량위기…가격 폭등·기아 공포 증가 / 성혜미 기자]<br /><br />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 인도네시아에서 때아닌 식용유 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팜유 국제 가격 상승으로 생산업자들이 내수보다 수출에 집중했는데, 올해 해바라기씨유 최대 수출국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전쟁으로 수출에 차질을 빚으면서 팜유 가격이 더 치솟았기 때문입니다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 사태는 글로벌 농산물 공급사슬을 뒤틀며 식량 대란을 불러왔습니다.<br /><br />세계 밀 수출의 29%를 차지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안 그래도 뛰는 세계 식량 가격을 더욱 끌어올렸습니다<br /><br />밀 선물 가격은 연초보다 45%가량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세계 시장의 약 14%를 점유하는 옥수수 가격도 연초보다 약 27% 상승했으며, 대두도 올해 들어 약 28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식량농업기구가 집계하는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이미 지난 2월 140.7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으며, 전쟁의 영향이 본격화한 3월 이후 수치는 더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비료 공급난도 식량난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비료 주요 성분의 주요 수출국이며 특히 탄산칼륨의 경우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작년 전 세계 수출량의 40% 이상을 차지합니다.<br /><br />유엔 식량농업기구의 막시모 토레로 수석 연구원은 비료 위기가 더 우려스럽다며 "비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내년에 심각한 공급난이 발생할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곡물 가격 인상에 터키에서는 해바라기유 가격 급등으로 사재기 현상이 일어났고, 이라크에서는 치솟는 식품 가격에 분노한 사람들이 거리 시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집트는 3개월간 밀과 밀가루, 콩 등 주요 곡물의 수출을 중단하기로 했고, 헝가리는 모든 곡물의 수출을 금지했습니다.<br /><br />아르헨티나는 대두유와 콩가루에 붙는 수출세를 연말까지 33%로 2%포인트 인상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급히 보조금을 투입하는가 하면 주요 식료품에 가격 상한제, 구매 개수 제한 정책도 도입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그동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산 밀로 만든 '값싼 빵'에 의존해온 아프리카와 중동의 빈곤층은 굶주림이 현실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항구를 파괴하고, 곡물을 실은 수출선 수백 척을 봉쇄했습니다.<br /><br /> "푸틴 대통령에게 선박 이동을 허락해 달라 요청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그는 전쟁과 죽음뿐만 아니라 기근과 굶주림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할 것입니다. 선박을 풀어주십시오."<br /><br />가뭄, 내전 등으로 이미 식량 위기를 겪고 있는 동아프리카 주민 2천800만 명이 극심한 기아를 겪을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은 지구촌의 자원 패권 경쟁에 불을 붙이고, 식량 수출을 중단하거나 비축을 확대하는 '식량 보호주의'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사태로 식량뿐 아니라 석유와 가스, 광물의 국제 가격도 뛰어 자원 빈국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카르타에서 연합뉴스 성혜미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로 인한 영향은 우리 일상생활까지 미치고 있습니다. 수입 곡물 가격 폭등으로 먹거리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, 빵이나 과자 같은 가공식품 물가가 앞으로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국제 곡물값 폭등, '먹거리 물가'에 영향…대책은 / 한지이 기자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국제 곡물 가격이 요동치고 있습니다<br /><br />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시카고선물거래소에서 지난 25일 기준 밀 선물의 가격은 톤당 405.00달러로, 지난해 말보다 43.0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국제 곡물 가격 상승분이 원재료비에 반영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정도.<br /><br />라면, 과자 등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쟁이 길어지면 원재료를 비싼 가격에 수입해야 하고, 업체들의 원가 상승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밀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라면 빵과 같은 가공식품들의 가격도 인상될 것이라 생각됩니다. 그런데 이런 제품들 중 생필품인 경우가 많아 서민들의 체감적인 부담감이 더 커질 것이라 우려스럽습니다."<br /><br />엎친 데 덮친 격으로 러시아가 자국 식량 안보를 지키겠다는 목적으로 6월까지 곡물 수출을 금지하면서 국제 곡물 가격이 더 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21.0%, 사료용을 제외한 식량 자급률은 45.8% 수준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글로벌 식량 대란이 장기화할 경우를 대비해 자급률을 높이는 등 대응 방안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전 세계적인 공급 부족으로 인해서 전체적으로 가격이 오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우리한테는 애그플레이션 이야기가 나오는 거죠. 부담을 그대로 안을 수밖에 없다…대체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대비가 필요한 것이고요."<br /><br />또 옥수수 등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곡물 가격도 폭등하고 있는 만큼 축산업 분야의 파장이 커지지 않도록 추가 물량 확보가 시급하다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 장기화로 총성 없는 식량 전쟁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서민들의 먹거리 걱정을 덜어줄 가격 안정 대책이 절실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<br /><br />[코너: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세계의 식량창고라 불리는 우크라이나에서 가뜩이나 전쟁으로 곡물 생산이 줄어드는 데다, 앞선 리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