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목일 앞뒀지만 검게 탄 나무들…복원까지 100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역대 최악의 산림 피해를 안긴 동해안 산불이 난지 한 달이 됐습니다.<br /><br />내일(5일)은 산림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또 직접 나무를 심으며 이를 실천하는 식목일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화마를 입은 울진 등 산불 피해지역은 푸르름을 잃은 채 봄을 맞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가 산불 피해 현장을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펼쳐져 있는 산들이 온통 잿빛으로 변했습니다.<br /><br />푸르름이 시작되는 4월이지만, 화마로 다 타버린 산에서 생명의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마을을 휘감고 있던 수십 년 된 나무들도 숯덩이가 됐습니다.<br /><br />더위를 피할 수 있는 쉼터가 되어주고 열매를 나눠 주던 나무들이지만 언제 다시 그늘을 내어줄지 기약이 없습니다.<br /><br /> "소나무가 좋았죠. 여기도 봐요. 소나무가 쫙 서 있고, 대나무가 여기는 대나무예요. 대나무가 돌아가며 대밭이 쭉 서가지고 보기 좋았어요. 대나무가."<br /><br />지난달 4일부터 13일까지 213시간 이어진 울진·삼척 산불이 발생한 지 한 달.<br /><br />열흘간 2만500ha의 산림을 태운 동해안 산불은 곳곳에 커다란 상처를 남겼습니다.<br /><br />산불 피해 현장에는 화마에 새카맣게 타버린 나무들과 이제서야 누렇게 죽어가는 나무, 그리고 운 좋게 살아남은 나무들이 한 데 뒤섞여 있습니다.<br /><br />산불 이전의 상태를 회복하려면 산림과 동물은 30년 이상, 토양은 100년이 넘게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산사태 방지를 위한 응급복구 이후 복원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텐데 계획 수립에만 3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원전 등 국가중요시설이 위치한 곳에는 불에 강한 내화 수림을, 민가 주변에는 오래 타지 않는 활엽수를 심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수종 선택은 산 소유주의 몫이고 자연 복원과 인공복원 중 뭐를 택해야 할지 등 모든 과정에서 논의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 "2000년 동해안 산불을 봐서라도 정말 많은 회의들이, 공청회라든지 전문가 회의라든지 많은 것들이 이뤄질 것입니다. 특히 그때만큼이나 대면적이지 않습니까…"<br /><br />산불 피해지는 죽은 나무를 잘라내는 벌목 과정을 거치면 말 그대로 민둥산이 됩니다.<br /><br />어린 묘목을 심어도 작은 숲을 이루기까지는 최소 20년 이상 걸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#식목일 #동해안_산불_한달 #수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