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산불 현장서 구조된 수리부엉이…먹이사슬 위협하는 산불

2022-04-06 21 Dailymotion

산불 현장서 구조된 수리부엉이…먹이사슬 위협하는 산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북 봉화 산불로 축구장 168개를 합친 면적이 불에 탔습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천연기념물인 수리부엉이가 구출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구출된 수리부엉이 말고도 수많은 야생동물이 연이어 발생한 산불로 서식지를 잃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아직 깃털도 제대로 자라지 않은 새끼 부엉이 한 마리가 진화대원의 손에 매달려 있습니다.<br /><br />부리부리한 눈동자와 날카로운 부리를 가진 이 부엉이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수리부엉이입니다.<br /><br />지난 5일 오후, 경북 봉화에서 발생한 산불로 어미를 잃고 방황하다, 산림청 공중진화대원들이 구조한 겁니다.<br /><br /> "산불 진화하다가 새끼가 타 죽을 것 같아서 보호하려고, 살려주기 위해서 잡아 왔습니다."<br /><br />산불은 새끼 수리부엉이뿐 아니라 산에 둥지를 틀며 서식하는 야생동물들에 치명적입니다.<br /><br />앞서 서울 면적의 3분의 1을 태운 지난달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산불로 인한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는 조사조차 어려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울진·삼척지역은 천연기념물인 산양의 주요 서식지로 당시 안일왕산 등 일부 서식지가 피해를 당했지만 산양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야생동물이 원상태로 돌아오는 데만 35년의 세월이 걸리며 먹이사슬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토양 속 미생물까지 포함하면, 원래대로 복귀하는 데만 10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 "불이 나는 것은 일반적인데, 이 불이 매우 크게 번지지 않게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같이 녹아있어야 산림관리, 야생동물 관리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 (take5@yna.co.kr)<br /><br />#봉화_산불 #수리부엉이 #야생동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