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고물가에 코스피 2,700선 붕괴…상승 랠리 없다?

2022-04-07 4 Dailymotion

고물가에 코스피 2,700선 붕괴…상승 랠리 없다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죠.<br /><br />각국 중앙은행들이 연달아 금리를 올리거나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, 문제는 경기가 좋아지는 상황이 아닌데,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점입니다.<br /><br />실물과 금융시장 모두 흔들릴 수 있는 겁니다. 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글로벌 물가 상승세에 금융시장도 초긴장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높은 물가 상승률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5월 정책금리를 대폭 인상할 가능성이 커진 탓에 지난밤 미국 나스닥 지수는 1만4,000선이 무너졌는데, 이 같은 상황은 국내시장에도 반영됐습니다.<br /><br />코스피는 지난달 21일 이후 열사흘 만에 2,700선이 무너졌고, 코스닥 지수도 1% 중반대 낙폭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삼성전자는 1분기 실적이 시장의 기대를 큰 폭으로 웃돌았지만 주가는 힘을 쓰지 못하고 52주 최저가를 경신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고삐 풀린 물가에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융시장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는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일반적으로 경기 회복기엔 기준금리가 올라도 기업 실적이 좋아지면서, 증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.<br /><br />다만, 최근엔 공급 측면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 기업들의 실적이 개선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, 이같은 랠리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 물가 상승률이 경제 성장률을 넘어서면서 오히려 물가가 너무 높기 때문에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. (주요국 중앙은행들이) 물가를 잡기 위한 통화정책 수단들을 굉장히 강하게 빠르게 쓰고 있는 상황이거든요."<br /><br />현재 우크라이나 사태가 변수로 남아 있는 가운데, 공급 측면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고 기업 실적이 회복해야 증시가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#글로벌물가 #금리 #주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