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다시 등장한 북핵 CVID…미, 대북 강경모드 전환?

2022-04-08 1 Dailymotion

다시 등장한 북핵 CVID…미, 대북 강경모드 전환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핵실험 우려 속에 주한 미국대사 지명자가 북한을 불량국가로 지칭했습니다.<br /><br />미 행정부에서 잘 사용하지 않았던 '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' CVID도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대북 강경 모드로 돌아선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지 부시 1기 행정부 때 수립된 북핵 해결 원칙인 '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' CVID라는 표현이 다시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 지명자는 상원 외교위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CVID가 미국의 비확산 목표와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북한을 '불량 정권'이라고 비판한 뒤 한미동맹에 대해선 인도·태평양과 이를 넘어선 역내 평화와 안보, 번영을 위한 핵심축이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두고 미국이 대북 강경 모드로 전환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레드라인으로 여겨진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데 이어 핵실험 가능성까지 제기될 정도로 긴장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미국의 강한 우려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그의 발언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에서 나온 CVID 언급과도 맞물려 주목을 받습니다.<br /><br />CVID는 2000년대 초 미국의 북핵 해결 원칙으로 수립된 뒤 한동안 통용돼 오다, 트럼프 행정부 때 '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' FFVD로 전환됐다가 바이든 행정부 들어선 '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'로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CVID에 대해 '항복문서에나 등장할 문구'라며 극도의 거부감을 표하자 미국의 북핵 해결 원칙 수위가 점차 낮아진 겁니다.<br /><br />한편, 북한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 담화는 고도로 연출된 것이라는 미 정보 당국자의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 당국자는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의 '핵무기 사용 가능성' 담화는 긴장 조성을 위해 연출된 것이라며 북한은 조만간 한미연합훈련을 도발의 구실로 삼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_비핵화 #CVID #북핵_해결_원칙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