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월 취업자 83만여명 증가…대면서비스는 또 위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가 80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1, 2월보다는 다소 적지만 역대 3월만 놓고 보면 20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난 건데요.<br /><br />다만 제조업과 공공행정부문 취업자가 늘어난 데 비해 오미크론 여파로 대면 서비스 업종은 취업자가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3만 1,000명 늘어난 2,775만 4,000명입니다.<br /><br />100만 명 넘게 늘었던 지난 1월과 2월보다는 증가폭이 줄었지만 3월 기준으로 2002년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3월 코로나19 한파에 취업자 수가 31만여 명 늘어나는 데 그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이어진 겁니다.<br /><br />실업률도 3.0%로 한 해 전보다 1.3%포인트 떨어지며 현 집계 방식이 도입된 1999년 6월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낮았습니다.<br /><br />다수 업종의 고용이 늘어난 것과 달리, 오미크론 확산으로 대면 서비스가 타격을 입으면서 도소매와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5만2,000명 줄어 34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은 25만 명 넘게 늘어 3월 취업자 증가분 30%를 차지했고, 공공행정 등에서는 6만8,000명 늘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도 10만 명 늘어, 2018년 1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가 33만여 명 늘어 3월 취업자 증가분의 40% 이상을 차지한 반면, 20대 취업자는 17만여 명, 30대는 4만여 명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또, 임금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만 유일하게 취업자가 줄어 17만2,000명 감소했고, 비임금 근로자 중 자영업자는 6만 명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지난 5년 동안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면서도, 청년들과 코로나 취약 업종의 상황은 여전히 어렵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코로나취업 #실업률 #서비스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