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검찰은 오늘도 수사권 완전박탈 입법을 막는데 총력을 모았습니다. <br> <br>한동훈 법무부장관 후보자도 지명되자마자 검수완박을 반드시 저지하겠다고 말했죠. <br> <br>김오수 검찰총장은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를 요청하고, 헌법소원도 청구하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구자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출근길 김오수 검찰총장은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은 국민 피해로 이어진다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> <br>[김오수 / 검찰총장] <br>"범죄자는 만세를 부를 것이고 범죄 피해자와 국민은 호소할 곳이 없게 됩니다. 그야말로 정의와 상식에 반하는 것입니다." <br> <br>죽음도 불사하겠단 표현까지 사용하며 저지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[김오수 / 검찰총장] <br>"저를 비롯한 검찰 구성원들은 절대로 낙담하거나 포기하지 않겠습니다. (필사즉생)의 각오로…" <br> <br>국회와 대통령, 헌법재판소까지 모든 절차와 방안을 강구한다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의 입법 포기와, 문재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요청하는 게 우선이지만, 필요하면 위헌 소송도 불사하겠다고 밝힌 겁니다. <br> <br>오후 기자 간담회에서도 검수완박의 위헌성을 지적했습니다. <br><br>[김오수 / 검찰총장] <br>"헌법상 수사권이 있는 검사에게서 수사권을 완전히 빼앗아 경찰에게 독점시키는 것은 위헌이다." <br><br>체포나 구속, 압수와 수색영장의 청구권자를 검사로 명시한 헌법 조항을 근거로 헌법상 수사권은 검찰에게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거취와 관련해서도 "검수완박이 도입되면 10번이라도 사표를 내겠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검찰 조직도 하루종일 들끓었습니다. <br><br>앞서 검찰 지휘부를 모래에 머리 박은 타조 같다고 비판한 이복현 부장검사는 문 대통령이 입장을 밝히라며 사표를 냈습니다. <br><br>검찰 내부망에는 전국 평검사 회의에서 대응 방안을 논의하자는 제안도 올라왔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구자준 기자 jajoonnea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