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상 조직 개편…산업 현장 목소리 들어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새 정부 조직 개편에서 '통상기능'은 주요 쟁점 중 하나입니다.<br /><br />6월 지방선거 이후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조직 구성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수출입 비중이 높은 우리 산업에 통상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.<br /><br />한-미 FTA 영향으로 미국 제품 수입 증가와 저가 수주 경쟁 심화로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한 중소기업은 2017년 전년 대비 매출이 급감해 정책자금 융자를 받아야 했습니다.<br /><br /> "관세라든지, 물류비 이런 것들 복합적으로 해서 피해가 있었어요. 전체 매출액의 한 10~20% 정도 타격이라든지…"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인 2018년, 국가안보를 이유로 미국이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해 시작된 논의는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, 진행 중인 미-중 갈등 등 통상과 관련된 산업계의 고민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조항이 애매한 부분에서 수출입 통제를 한다든지, 해당 기업의 생사가 왔다 갔다 하는 부분이 될 수도…최대한의 효과를 얻으려고 하면 기업하고 정부가 정확한 팩트를 공유를 해야 되겠죠."<br /><br />급변하는 통상환경으로 피해 범위는 갈수록 넓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관세나 이런 단순한 비용부담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다 보니까요. 공급망이라든지, 안보, 패권 전쟁 때문에 기업들이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지 않습니까?"<br /><br />우리나라 무역의존도는 OECD국가 중 독일에 이어 2위로 국제 정세와 교역 상대국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통상기능 조직 개편에 대기업은 물론 중견·중소 기업을 포함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#통상 #산업 #외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