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상 회복이 되더라도 걱정인 곳, 또 있습니다.<br> <br> 당장 동네 사장님들은 구인난이 발등에 불로, 떨어질 겁니다.<br> <br> 영업제한이 풀려 손님이 다시 늘기를 얼마나 기다렸습니까.<br><br>하지만 일감 없어 내보낸 직원들 다시 부르기가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 돈을 줘도 사람 구하기 힘든 이유가 따로 있는데요.<br> <br> 이혜주 기자가 근본적인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에서 술집을 운영하는 김계순 씨. <br> <br>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앞두고 아르바이트생 4명을 뽑을 생각이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금껏 뽑기는 커녕 면접 한번 보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김계순 / 술집 업주] <br>"매출은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것 같아요. 그런데 제일 어려운 건 일할 수 있는 알바 구하기가 좀 쉽지가 않은 것 같아요." <br> <br>결국 시급을 올리는 등 출혈을 감수하면서 아르바이트생 유치전에 나섰습니다, <br> <br>[김계순 / 술집 업주] <br>"지금은 (시간당) 1만 1000원, 1만 2000원 줘도 적다고 하니까요. 사람 모집이 안 돼서 오픈부터 마감까지 계속 하다 보니…" <br> <br>거리두기 해제가 다음주로 다가왔지만 일하겠다는 사람이 부족해 자영업자들은 애간장이 탑니다. <br> <br>[조은순 / 식당 사장] <br>"코로나 때문에 사람들이 홀 안에서 일하는 거 상당히 망설였어요. 위험하니까. 그런데 지금은 해제돼 가는데도 사람이 없어요." <br> <br>상황이 이런 건 청년들 사이에서 비대면·초단기 일자리의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필요할 때만 일해도 비교적 높은 임금을 가져갈 수 있고, 업주나 손님들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걱정 없이 일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꼽힙니다 <br> <br>[임효선 / 단기 배달 아르바이트생] <br>"코로나 때문에 한 매장에 더 오래 못 있고 최대한 사람들이랑 밀접 접촉을 안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게…" <br> <br>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단기 일자리의 인기는 이어질 전망, <br><br>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에 구인난까지 겹치면서 자영업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김명철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