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승부리는 메신저피싱…피해액 1년 새 2.6배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줄고 있지만 수법은 갈수록 치밀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스마트폰 문자를 이용한 메신저 피싱은 더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보이스피싱 피해에 금융사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공약한 만큼, 금융사의 배상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12월, 60대 여성 A씨는 딸로부터 다급한 문자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휴대전화가 파손돼 급하게 휴대전화 보험을 들어야 한다며 A씨 명의로 신청해 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.<br /><br />알고 보니 딸을 사칭한 사기였는데, 이를 깨달았을 땐 이미 A씨가 신분증 사본과 은행 계좌번호, 비밀번호를 넘긴 뒤였습니다.<br /><br />사기범은 A씨의 계좌에서 2억 6,700만원을 가로챘습니다.<br /><br />A씨 사례처럼 최근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사기, 이른바 메신저피싱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대면이 어려워지면서 보이스피싱 전체 피해액은 줄었는데, 메신저피싱만 피해액이 1천억원에 육박하며 1년 전의 2.6배로 불어난 겁니다.<br /><br />피해가 끊이지 않는 보이스피싱의 대책으로 주목되는 부분은 '금융사의 책임 강화'와 '금융소비자 피해구제제도의 실효성 제고'를 내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입니다.<br /><br />현행법 상 금융사가 보이스피싱 피해에 배상을 하려면 고객 본인 확인을 하지 않고 돈을 내줬거나 수사기관의 지급 정지 조치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로 한정됩니다.<br /><br />재작년 배상 범위를 "이용자의 고의와 중과실이 없는 경우"로 넓히려 했으나 금융권의 반발로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 "금융사가 모든 범죄 프로세스에 관여를 했냐… 원칙적으로 금융사가 책임지라고 하는게 좀 어렵지 않냐라는…"<br /><br />인수위원회 측은 정부 출범 뒤 보이스피싱 근절 방안의 구체적인 방향을 내놓을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보이스피싱 #피해배상 #윤석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