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시 검수완박 법안과 관련된 소식입니다. <br> <br>이번엔 경찰과 검찰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는데요. <br> <br>먼저 법안이 통과되면 검찰의 모든 수사권을 넘겨받게 되는 경찰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요. <br> <br>겉으로는 환영하지만 내부적으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민영 기자가 직접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경찰의 노조 격인 전국경찰직장협의회는 그제 검수완박에 찬성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, 영장 청구권이 일체화되면서 국민의 권리를 침해했다며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는 검수완박 법안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민관기 / 전국경찰직장협의회 전국위원장] <br>"표적 수사, 검사들이 제식구 감싸기를 한다든가 이런 부분들을 오랫동안 봐왔잖아요. 경찰도 전문 분야 수사 인력이 많이 들어와 있어요." <br> <br>하지만 경찰의 속내는 복잡합니다. <br> <br>이참에 검수완박을 통해 경찰 수사역량을 높이자는 의견과 함께 경찰의 현실을 모르고 하는 말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 <br>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경찰청 게시판에는 "누구보다 검수완박을 반대하는 건 경찰"이라는 글이 올라왔습니다. <br> <br>"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업무 과중으로 수사부서 기피 현상이 심각하다", "순번을 정해 탈출할 정도"라며 모든 수사를 넘겨 받는 건 현실에 맞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한 일선 경찰관도 채널A와의 통화에서 "수사 인력 충원이 우선돼야 한다"며 "양질의 수사 환경을 갖추는 게 먼저"라고 말했습니다. <br><br>검수완박이 통과돼도 영장청구권이 검찰에만 있는 한 검찰 권력 견제는 쉽지 않을 거라는 회의적 의견도 있습니다. <br> <br>[현직 경찰관] <br>"기소랑 수사를 분리하는 건 맞는데 검사야 영장 청구할 힘이 있으니까 수사하면 막강하지만 우리는 그런 것도 없고, 일만 많아지고." <br> <br>경찰 수뇌부는 국회 논의를 지켜보겠다며 직접적인 의견 표명을 자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민영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이 철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