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여야가 검수완박 중재안에 합의한 지 이틀 째 만에 윤석열 당선인도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. <br> <br> “국민 우려를 지켜보고 있다” 했고, “취임 이후에 헌법 가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겠다”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 대통령 취임 후 법률안 거부권을 행사할 거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죠. <br> <br> 민주당은 발끈했지만, 인수위나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합의 대로는 못 간다는 반응이 나왔습니다. <br><br>홍지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검수완박 중재안에 첫 입장을 냈습니다. <br> <br>[배현진 /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] <br>"국민들이 우려하시는 모습들과 함께 잘 듣고 잘 지켜보고 있습니다. <br>취임 이후에 헌법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서 대통령으로서 책임과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." <br> <br>일각에서는 윤 당선인이 헌법에 명시된 대통령의 법안 거부권 행사를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4월 임시국회 처리가 불발돼 윤 당선인 취임 이후로 넘어가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중재안이 처리된다해도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등 후속 법안은 윤 당선인 취임 이후 논의가 시작될거라 역시 거부권 행사가 가능합니다. <br><br>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"취임 이후 거부권 행사 가능성도 열어둔 것"이라며 "여야 국회 논의 과정에 달렸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민주당에서는 "윤 당선인이 벌써부터 여야 합의를 파기하기 위한 밑자락을 까는게 아닌지 우려스럽다"는 반응이 나왔습니다. <br><br>윤 당선인이 '국민 우려'를 언급한 가운데 인수위원회와 국민의힘 일각에서도 속도조절론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"모순점이 있는 상황에서 입법 추진은 무리"라며 내일 최고위에서 중재안을 재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안철수 인수위원장은 정치인의 이해상충 문제를 지적하며 충분한 공론화를 거쳐야한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[안철수 / 대통령직인수위원장] <br>"정치인들이 스스로 정치인에 대한 검찰의 수사를 받지 않게 하는 것, 그것이야말로 이해 상충 아니겠습니까." <br> <br>권성동 원내대표는 공직자 수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거라는 국민 우려를 반드시 해소하겠다며 관련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지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정기섭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