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14조 원대 순이익…올해도 역대 급 실적 <br />막대한 순이익…은행 ’이자 장사’ 덕분 <br />물가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…대출금리 올라<br /><br /> <br />KB와 신한, 하나, 우리 등 4대 금융지주가 지난 1분기에만 9조 원이 넘는 이자이익을 거뒀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이자수익이 늘어나고 있는데, 물가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이 은행들의 배만 불린다는 지적 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 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KB와 신한, 하나, 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은 올 들어 3월까지 역대 최대 이익을 거뒀습니다. <br /> <br />KB와 신한금융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조 4천 억이 넘는 순이익을 올렸고, 하나와 우리금융도 큰 폭의 이익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사상 최대인 14조 원대의 순이익을 거뒀는데, 올해도 역대 급 실적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의 막대한 순이익은 이자수익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 입니다. <br /> <br />물가를 잡기 위해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금리가 오르니 은행들이 받는 이자는 불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KB금융이 2조 6천 억이 넘는 이자수익을 챙기는 등 4대 금융지주는 1분기에만 9조 원이 넘는 이자 수익을 쓸어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지난 1월 기준 잔액기준 2.24% 포인트로 30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부동산과 주식시장 부진 등의 영향으로 이자가 낮은 수시입출금 예금으로 돈이 몰리면서 은행권의 순이자 마진은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권은 두둑한 이자를 챙기고 있지만, '영끌'로 빚을 끌어 쓴 대출자는 울상 입니다. <br /> <br />예대금리차가 커지면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'예대금리차 주기적 공시제도' 도입에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의 사업보고서 등을 월별로 공개해 은행 간 경쟁을 유도한다는 내용 입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: 금융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예대금리차를 공개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직접적으로 금리에 개입하는 경우에는 시장을 왜곡하며 오히려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.] <br /> <br />이자 폭리로 제 배만 불린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지주들은 분기 배당과 자사주 소각 등 '주주 달래기'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42422172902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