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일본보다 앞서 한국을 방문합니다. <br> <br>다음 달 20일부터 2박 3일 일정이 유력합니다.<br> <br>이번 방한에 미국의 요구 조건이 있었다는데, 곽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1일 한미 정상회담을 갖습니다. <br><br>한미 양국은 바이든 대통령이 다음 달 20일부터 2박 3일 방한하는 일정을 논의 중입니다. <br> <br>다음 달 24일 '쿼드'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일본 방문보다 앞선 일정입니다. <br> <br>대통령 취임 후 첫 동아시아 순방의 첫 번째 방문지로 한국을 택한 겁니다.<br> <br>게다가 2박 3일 일정은 10년 전 오바마 대통령 방한 이후 처음입니다. <br> <br>조속한 정상회담 개최와 일본보다 앞선 한국 방문에는 북·중·러에 맞선 한·미·일 동맹의 견고화를 염두에 둔 미국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박진 / 외교부장관 후보자] <br>"경제와 안보가 가장 중요한, 그런 현안 아니겠습니까. 한미 정상회담이 조기에 이루어지면 알찬 방문이 (될 겁니다.)" <br><br>앞서 한미 정책협의단의 방미 당시 방한 요청을 받은 백악관 측은 조속한 한·일 관계 개선을 '조건'으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윤 당선인도 오늘 보도된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"새로운 우정을 바탕으로 한·미·일 관계의 새로운 날, 새로운 장을 열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앞서 기시다 일본 총리 측에 다음 달 10일 대통령 취임식 참석과 한일 정상회담을 제안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 <br> <br>일본을 방문 중인 한일 정책 협의단도 오늘 하야시 일본 외상에 이어 모레 기시다 총리 면담을 조율 중입니다. <br> <br>협의단 측은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총리 시절 맺은 '한일 파트너십'의 회복 의지를 담은 윤 당선인의 친서도 전달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곽정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기상 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곽정아 기자 kwak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