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산지역의 숙원사업이던 가덕도 신공항을 예산 14조 원을 들여 2035년까지 개항한다는 정부의 밑그림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업 자체의 경제성이 워낙 낮은 데다 예비타당성 조사도 면제할 예정이어서 특혜와 예산 낭비 논란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대선 과정에서 여야는 모두 부산 지역 숙원사업인 가덕도 신공항 추진을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업의 경제성이 낮아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당선인 (지난 1월 15일) : 기왕에 (가덕도 신공항) 시작할 것이면 화끈하게 예타(예비타당성 조사) 면제시키겠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국무회의 의결로 13조7천억 원을 투입하는 가덕도 신공항의 추진 계획을 확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활주로를 남북으로 설치할 경우 인구밀집 지역에 소음피해가 발생하는 점을 고려해 활주로를 동서로 해상에 배치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장래 확장 가능성이 있고 절취된 산지를 배후부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기획재정부는 예타 면제와 사업계획 적정성을 검토하고, 국토부는 연내 기본계획 마련에 착수해 내년에 설계에 들어간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2025년 하반기에 착공해 2035년 6월 개항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홍 철 / 국토교통부 가덕도신공항건립추진단 팀장 : 가덕도 신공항 건설 사업은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 가치로 적극 추진할 예정입니다. 향후 기본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업 기간 단축, 공사비 절감 방안에 대해서 적극 검토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의 추진계획은 애초 예상보다 공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사업비는 2배 가까이 늘어난 반면, 예상 수요는 부산시 예측의 절반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또 비용과 경제적 효과를 계산한 비용편익분석이 1을 넘어야 경제성이 있는 것인데, 이 사업은 0.5 정도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[강은미 / 정의당 의원 : 이후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표적인 표심잡기 정책이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. 이미 경제성도 낮고, 주변 환경문제와 소음문제, 조류와 항공기 충돌 문제 등이 예상되는 사업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국토 균형발전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지만, 가덕도 신공항 사업은 특혜와 예산 낭비 논란에 휩싸인 채 정치적 논리로 대규모 국책사업이 졸속 추진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동우 (dw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42618185416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