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코로나 이후 배달기사 숫자가 42만 명 까지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빠른 배송 경쟁에 안전사고도 늘었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직 인수위가 해법으로 '안전배달료'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중인데, 실효성이 있을지 김유빈 기자가 현장 목소리를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승용차로 배달 부업을 하는 배달기사를 따라가 봤습니다. <br><br>실제 배달 현장이 어떨지 제가 한번 동행해보겠습니다.<br> <br>저녁 8시. 콜이 잡힌 식당까지 가는데 수많은 배달 오토바이를 지나칩니다. <br> <br>차선을 넘나들기도 하고 <br> <br>[현장음] <br>"오오오 위험해 보이잖아. (끼어드는 것 봐)" <br> <br>운전 중 핸드폰을 보기도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신호 걸려서 옆에 오토바이를 봤는데 스마트폰 4대를 켜놓고 운행하고 있더라고요." <br> <br>차량 진입이 힘들어 어렵게 도착했지만 <br> <br>[현장음] <br>"(많이 기다리신 건지?) 좀 걸린 건 있어요. 한 30분?" <br> <br>배달 오토바이들은 사람과 차량을 마구 비집고 다니며 곡예 운전을 펼칩니다. <br><br>코로나19 이후 이륜차 교통사고는 10% 가까이 증가했습니다.<br> <br>[임이자 / 인수위 사회복지문화분과 간사(지난 22일)] <br>"지난해 배달 과정에서 사망한 배달노동자가 18명이고." <br> <br>인수위는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 배달 노동자 단체가 요구하는 '안전배달료'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. <br><br>현재 3천 원 이하의 낮은 기본 배달료를 4천 원 이상으로 높이되, 불투명한 할증 시스템을 투명하게 바꿔, 할증 때문에 무리하게 운전할 일을 막자는 취지입니다.<br> <br>하지만 안전배달료가 배달원의 안전 운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. <br> <br>[김모 씨 / 프리랜서·배달 부업] <br>"소득을 최대한 많이 올리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. 교통안전 차원에서 해결하려는 방법이 필요하다." <br> <br>안전배달료가 도입되면 소비자와 점주 부담이 늘어 배달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임채언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