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 정상외교 속도전 예고…대 중·러 대응공조 강화하나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나토 정상회의에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4개국을 초청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, 윤석열 정부 초기 활발한 한미 간 정상외교가 이뤄질 것임을 예고합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을 강조하는 미측은 새 정부와의 공조에 기대감을 표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보도에 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다음 달 21일쯤 열릴 예정인 한미정상회담.<br /><br />역대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으로선 최단기간 내 열리는 행사인데다, 미국 대통령의 방한으로 이뤄지는 만남인 만큼 윤석열 당선인 측은 회담의 성공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회담을 전후한 다자 정상회의 자리에서 두 사람이 머리를 맞댈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 12일 화상으로 개최되는 코로나19 대응 정상회의와 오는 6월 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가 예정된 것.<br /><br />윤 당선인 측은 코로나19 대응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, 나토 정상회의 역시 정식 초청 제안이 오면 참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이같이 윤석열 정부 초기, 한미 간 정상외교 '속도전'이 예상되는 것은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견제 필요성이 커진 미측의 판단과 연계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응하고, 글로벌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을 견제해야 하는 상황에서, 동맹국인 한국의 협조가 더욱 긴요해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의 부당한 우크라이나 침공과 코로나19, 기후변화 등 위협을 마주한 상황에서, 우리는 러시아나 중국 등 특정 나라들이 도전하거나, 훼손하거나, 파괴하려는 그 시스템을 지키기 위해 헌신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윤석열 정부 역시, 고도화하는 북한의 핵무력을 억제하고,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기에 국익을 챙기기 위해 미측과의 밀착도를 높여야 한다고 보는 만큼, 양국 사이 공동의 '방향성'을 조기에 설정하자는 공감대가 있을 것이라는 해석입니다.<br /><br />제20대 대통령 취임이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, 윤 당선인의 국가수반으로서의 외교 행보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#한미정상외교 #러시아_중국_대응공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