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렇게 물가도 비상인데, 환율 악재까지 터졌습니다. <br> <br>원·달러 환율이 1270원대를 뚫으며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기업들은 물론, 한국 경제 전반에 먹구름이 꼈습니다. <br> <br>조현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오늘 원·달러 환율은 1272.5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.<br> <br>이는 전날보다 7.3원 오른 수치로,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3월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. <br> <br>홍남기 경제부총리까지 나서 치솟는 환율에 구두 개입에 나섰지만 상승세를 막기엔 역부족.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] <br>"정부는 급격한 시장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며 필요한 경우 시장 안정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습니다." <br> <br>유가가 오르고, 원자재가 급등하며 물가까지 크게 올랐는데, 환율 변수마저 터지며 기업들은 동시다발적 악재에 놓였습니다. <br> <br>특히 원자재 수입 업체들은 비상입니다. <br> <br>[철강업계 관계자] <br>"계약은 몇 달 전에 해도 이 조건이 들어올 때 환율로 계산하거든요.이제 (비싸도) 물건 나오면 받아야 돼요. 안 하면 그 다음에 물건을 우리가 요청할 때 안 받아주니까." <br> <br>예상치 못한 지출이 커지면서 연초 세운 자금투자계획은 틀어졌습니다. <br> <br>[철강업계 관계자] <br>"당연히 (투자계획을) 조정하지 않으면 (사업) 못해요. 그 전에 엔화가 1400원까지 올랐을 때는 (주문을) 반으로 줄였어요." <br><br>한국 경제에도 경고등이 켜졌습니다. <br> <br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(원·달러 상승으로 인한) 통화가치 하락은 우리나라에 투자된 자금 이탈, 외환보유고 관리 등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요. 물가상승으로 이어져." <br> <br>미국 연준의 고강도 긴축 예고 속에 중국의 코로나 봉쇄,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. <br> <br>원·달러 환율도 당분간 고공행진 할 거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한효준 <br>영상편집 구혜정<br>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