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검수완박 국면을 거치면서 당선인 측은 민주당에 대응할 카드는 여론 뿐이라고 여기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구성이 막바지인데, 전체 규모는 줄이더라도, 시민사회수석실은 대폭 강화해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여론전에 나서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> <br>조영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6·1 지방선거와 동시에 검수완박법에 대한 국민투표를 진행하려면 취임 이후 닷새 안에 관련 절차를 마무리해야 합니다. <br><br>현행법상 국민투표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투표일 18일 전까지 투표 날짜와 투표안을 공고해야 하는데, 지방선거일부터 역산하면 늦어도 14일까지는 국민투표를 공고해야 하는 겁니다. <br><br>윤 당선인 측은 국민투표 추진 과정에서 국민 여론을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또 취임 이후에도 171석의 거대야당 민주당이 또 다른 입법 독주를 시도할 것으로 보고, 대통령 시민사회수석실을 강화해 여론전에 대비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장제원 /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] <br>"(민주당이) 헌법 일탈 행위 하는 그런 것에 대해서 국민들에게 좀 더 설득하고 설명하는 그런 부서가 필요하지 않느냐 그게 시민사회수석실 아니냐 생각해서 조금 강화할 생각입니다." <br><br>시민사회수석비서관 밑에 5명의 비서관을 둬 전체 수석실 가운데 가장 큰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국민통합, 시민소통비서관 등 3명의 비서관은 시민단체와 직능단체들을 맡고 민원처리를 담당하는 국민제안 비서관과 디지털소통비서관도 함께 둔다는 계획입니다. <br><br>윤 당선인 측은 당선인이 지역 일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내일, 대통령실 직제와 인사안을 보고하고 이르면 모레, 대통령실 구성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