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미국 로스앤젤레스.<br> <br> 평화로워 보이는 이 도시에 지옥 같은 아비규환이 벌어진 건 인종차별 때문이었습니다. <br> <br> LA 폭동 이후 30년 최대 피해자였던 한인 사회는 누구보다 용서와 화해에 앞장섰는데요.<br> <br> 정작 미국 사회는 인종차별과 혐오에서 얼마나 더 자유로워진 걸까요.<br> <br> 워싱턴에서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도로 표지판을 들어 올려 건물 유리창을 박살 냅니다. <br><br>화염에 휩싸인 건물들은 곳곳에서 검은 연기를 내뿜습니다. <br> <br> 1992년 4월 29일. <br> <br> 흑인 청년을 구타한 백인 경찰관이 무죄 평결을 받자, 인종차별에 대한 분노는 극에 달했습니다. <br> <br> 거리로 쏟아져 나온 흑인들의 방화와 약탈이 이어졌고, 1년 앞서 한인 슈퍼마켓에서 흑인 소녀가 총격에 숨진 사건을 떠올리며 흑인들의 분노는 당시 한인들을 집어삼켰습니다. <br> <br> 상점이 불에 타 잿더미가 되고 한인들은 목놓아 울었습니다. <br><br> 총을 들고 스스로 지키지 않으면 터전은 물론 목숨마저 위태로웠습니다. <br> <br> [현장음] <br> "사람한테 총 쏘지 마! 사람한테 총 쏘면 안 돼! 예. 알았어요." <br> <br> 이후 30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. <br><br> 한인들은 그날의 아픔을 잊지 않았고 <br> <br> [임혜빈 / 한인 비영리단체 페이스(FACE) 회장] <br> "2300명이 넘는 상인과 그들의 생계가 파괴됐던 최대 규모의 반아시아 폭력 사건이었습니다." <br> <br> 한인과 흑인 사회가 공동 주최한 행사에는 아시아계와 흑인 가수들이 무대에 올라 화합의 장을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 한인들의 위상도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 지난해 LA에서 열린 BTS 공연에는 지구촌 수십만 팬들이 몰려들어 도시를 뒤흔들었습니다. <br> <br> 2020년 선거에선 4명의 한국계 연방 하원의원이 한꺼번에 당선돼 정계를 누비고 있습니다. <br> <br> 그럼에도 제2의 폭동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. <br> <br> 조지 플로이드 사건으로 30년 전 약탈과 방화가 미국 곳곳에서 되풀이됐고 12년 만에 가장 많은 증오 범죄가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 아시아계, 특히 노인과 여성이 피습을 당했다는 소식은 곳곳에서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<br>유승진 워싱턴 특파원<br><br> 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