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할 4강 외교사절 명단이 정해졌는데요.<br> <br>눈에 띄는 건 중국 대표입니다. <br> <br>역대 취임식 참석자 중 가장 급이 높은 시진핑 주석의 최측근을 보낸다는데요. <br> <br>윤석열 정부가 각별히 한미 관계에 공을 들이는 상황에서,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국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취임식에 미국 내 권력 서열 2위인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의 남편, 더글러스 엠호프를 축하 사절로 보냅니다. <br> <br>엠호프는 아내가 미국의 첫 여성 부통령이 되면서 '세컨드 젠틀맨'이 된 백악관 패밀리 중 한 명입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(2020년)] <br>"더글러스 엠호프 또한 미국 역사상 첫 세컨드 젠틀맨으로서 유리 천장을 뛰어넘게 될 겁니다." <br><br>역대 취임식 때 파견했던 고위 관료 대신 세컨드 젠틀맨을 선택한 건, 취임식 열흘 뒤 예정된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과도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.<br> <br>대통령 방한을 앞두고 2인자인 부통령까지 보내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, 미국 측 고위 관료들의 경우 어차피 한미 정상회담에 동행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'퍼스트레이디'인 질 바이든 여사 또한 이미 외국 방문 일정이 잡혀 있는 만큼, 세컨드 젠틀맨의 참석은 동맹국인 한국에 최대한 성의를 표시한 것이란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중국은 시진핑 주석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왕치산 부주석을 보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부총리급 인사를 보냈던 그동안의 관례를 깨고 한층 격을 높인 겁니다.<br> <br>'권력 2인자'를 파견하는 외교적 파격 이면에는 윤석열 정부가 미국에 쏠리는 걸 견제하겠다는 전략적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일본은 당초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방한도 검토했지만, 일본 정부와 여당 내 신중론에 따라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이 참석하기로 했습니다.<br> <br>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시 상태인 러시아는 안드레이 쿨릭 주한 러시아 대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윤수 기자 ys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