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량이나 송전 철탑 등 철도시설물은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점검을 해야 하지만, 사람이 직접 하기엔 어렵고 사고 위험도 큰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무인 드론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철도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에 양훼영 기자입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드론이 철도 교량 가까이 천천히 날아갑니다. <br /> <br />교량 상판은 물론 사람이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교량 하부와 교각까지 꼼꼼히 촬영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철도시설물 안전점검 자동화 시스템으로, 세계최초로 드론 비행까지 무인 자동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복합항법시스템을 적용해 GPS 신호가 없는 교량 하부에서도 스스로 충돌을 피하며 자율비행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차량이 오가는 교량과 달리 철도 교량은 강한 열차풍으로 그동안 드론 운용이 어려웠는데, 이번에 개발한 드론은 초속 8m의 돌풍에도 끄떡없고, 전자기파 영향도 받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드론이 촬영한 영상은 손상감지 소프트웨어로 전송되는데, 인공지능이 교량의 손상 종류를 분류하고, 크기와 위치도 정확하게 분석해 3차원 지도에 표시합니다. <br /> <br />[박춘수 / 철도기술연구원 신교통혁신연구소장 : 기초적인 데이터를 먼저 입력하고 그걸 바탕으로 드론에서 보내온 여러 가지 사진들을 비교 검토해 인공지능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여러 데이터를 축적해 그걸 바탕으로 시설물의 손상을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해낼 수 있는 그런 시스템입니다.] <br /> <br />또, 개발한 시스템은 이동형 지상관제국 차량에서 운용할 수 있어 어디서든 쉽게 교량 점검을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500m 정도 교량 한 개를 점검하는데 기존에는 육안 검사에 의존해 24시간 정도 걸렸지만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을 적용하면 무인으로 7시간이면 점검을 마칠 수 있어 점검 시간이 71%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[한석윤 / 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 : 우리 철도 시설물이 굉장히 노후화됐습니다. 이 노후화된 시설물을 완전 자동 시스템을 이용해서 더욱 빠르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내년 6월까지 전국 철도 시설물 10곳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실증실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직원 교육과 매뉴얼 작성 등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실제 교량 점검 현장에 적용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50502140960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