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은 "예상 부합하나 불확실성 여전"...기준금리 인상 빨라지나? / YTN

2022-05-05 180 Dailymotion

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 한국은행은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며 국내 금융 시장에 미칠 여파에 주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 속도도 더 빨라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.5%포인트 인상한 데 대해 한국은행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크고 대외 여건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국내 금융·외환 시장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기준금리를 0.5%포인트 올린 건 2000년 5월 회의 이후 22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미국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고 추가 '빅스텝'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이제 관심은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언제, 얼마나 오를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추가 인상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연준의 인상으로 한미 간 기준금리 격차가 크게 줄었는데, 원화 입장에서 보면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과 급격한 원화 가치 하락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미국 기준금리가 더 높아져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면 해외자금 이탈과 원/달러 환율 급등, 이에 따른 물가 상승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. <br /> <br />[정철진 / 경제평론가 : 우리나라 금리가 더 높아야 달러가 안 빠져나가는데 우리보다 미국이 더 높으면 달러가 유출되는, 환율이 흔들리는 그런 문제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치솟는 국내 물가도 기준금리를 올려야 할 또 다른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4.8% 올라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, 경제 주체들의 물가 상승 기대 심리도 9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: 우리나라"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매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서 국내외적으로 유동성 회수를 위한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3주 앞으로 다가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두 달 연속으로, 적어도 연내 세 차례 정도는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50516064642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