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시적 비대면 진료 2년…제도화 추진에 의료계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한시 허용된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 추진을 놓고 의료계 우려가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플랫폼 특유의 편의성을 내세워 급성장했지만 국민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변화라 걱정되는 부분도 많다는 건데요.<br /><br />김장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병원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위기에서 비대면 진료가 한시 허용되면서 생겨난 의료 플랫폼인데, 이런 앱이 10여가지가 넘습니다.<br /><br />병원이나 약국에 직접 가지 않는 편의성 덕분에 누적 사용 건수가 400만 건에 달할 정도로 급성장했습니다.<br /><br />비대면 진료와 조제만을 전문으로 하는 병원과 약국까지 등장한 가운데, 정부도 비대면 진료체계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본격 논의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의료계는 국민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의료서비스에 큰 변화를 초래하는 만큼 부작용을 우려합니다.<br /><br /> "초진부터 (비대면 진료를) 쓰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, 환자를 직접 보고 대면 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 보조적인 목적으로 가기 위해 의료계 목소리를 들어주셨으면 (합니다.)"<br /><br />특히, 비대면 진료의 산업화 강행은 의사를 마치 쇼핑하듯 찾아다니는 닥터 쇼핑과 건강보험 재정 낭비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또 환자에게 복약지도를 제대로 못하고, 약물 오배송과 오남용 우려도 제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배송만 전문적으로 하는 약국은 외곽에 나가서 공장 형식으로 원격으로 처방전 받아 의약품을 배송하면 끝나기 때문에 국민에게 지역 밀착형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습니다."<br /><br />제도화 추진에 앞서 비대면 진료가 양질의 보건의료체계를 갖추고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코로나19#비대면진료#대면진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